요즘은 ‘디지털 월세’라는 표현이 생길 정도로 OTT 구독료가 고정 지출이 되었습니다. 넷플릭스, 유튜브 프리미엠, 티빙, 왓챠 등 평균 2.8개의 OTT 서비스를 구독하는 사람들이 월 2만 원 이상의 구독료를 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올바른 신용카드 선택만으로도 월 5,000원에서 2만 원까지 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으로 OTT 할인 혜택이 뛰어난 신용카드들을 분석하고 비교했습니다.
1. 신한카드 구독 좋아요 – 최대 2개 OTT 무료 이용
신한카드 구독 좋아요는 OTT 할인 카드의 대표주자입니다. 연회비는 국내전용 15,000원, 해외겸용 18,000원으로 저렴하면서 전월실적이 40만 원 이상일 때 넷플릭스, 유튜브 프리미엄, 디즈니플러스, 티빙, 왓챠, 웨이브 등 모든 주요 OTT 서비스에서 정기결제 금액을 100% 할인해줍니다.
월 최대 2만 원까지 할인되므로, 광고형 스탠다드 요금제를 선택한다면 OTT 2개를 완전히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넷플릭스 프리미엄(17,000원)과 유튜브 프리미엄(14,900원) 같은 고가 요금제도 전액 할인되므로, 구독 서비스를 많이 이용하는 사람에게 가장 효율적입니다.
2. 하나카드 원더카드(원더 Life) – OTT와 생활비 통합 할인
하나카드 원더카드는 연회비 19,900원으로 OTT와 생활비를 함께 아낄 수 있는 카드입니다.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웨이브, 유튜브 프리미엄 등 OTT에서 최대 40% 할인이 적용되며, 월 최대 1만 5천 원까지 OTT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이 카드의 강점은 전기세, 가스비, 관리비 같은 생활요금에서도 10% 할인이 추가로 제공된다는 점입니다. 월 최대 2만 5천 원의 총 할인을 받을 수 있어, OTT 구독료뿐 아니라 고정비 전반을 절감하고 싶은 사람에게 추천됩니다.
3. KB국민카드 톡톡O – OTT 플랫폼 전문 카드
KB국민카드 톡톡O는 OTT 플랫폼 구독에 특화된 카드입니다. 연회비는 국내전용 10,000원으로 매우 저렴하면서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웨이브, 왓챠, 티빙, 유튜브 프리미엄에서 100%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월 OTT 할인 한도는 1만 원으로 설정되어 있어, 월 1만 원 정도의 OTT 구독료를 내는 사람이라면 완전히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 간편결제에서 10%, 편의점과 대중교통에서 5%의 추가 할인까지 제공되어 일상 소비도 함께 절감할 수 있습니다.
4. 삼성카드 ID 달할인 – 고정비 최적화 카드
삼성카드 ID 달할인은 연회비 국내전용 10,000원의 저가 카드입니다. 넷플릭스, 웨이브, 티빙, 왓챠, 멜론, FLO 등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50% 할인이 자동으로 적용됩니다.
월 할인 한도는 5천 원으로 다소 낮지만, 스트리밍과 온라인쇼핑몰 멤버십 할인이 통합되어 운영됩니다. 아파트 관리비와 이동통신 등 생활요금 정기결제에서도 5% 할인을 받을 수 있어, 월 소비액이 적으면서 고정비를 절감하고 싶은 사람에게 효율적입니다.
5. NH농협 ZGM.streaming – 저실적 소비자용 카드
NH농협 ZGM.streaming은 전월실적 조건이 30만 원으로 매우 낮은 OTT 할인 카드입니다. 넷플릭스, 유튜브 프리미엄, 디즈니플러스 등의 정기결제에서 20% 청구 할인을 제공하며, 월 최대 5천 원의 할인 한도가 있습니다.
스타벅스에서 50%, 영화표에서 30%, 통신과 대중교통에서 7% 할인이 추가로 제공되어 생활 전반에서 절약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낮은 실적 조건으로 카드 혜택 진입장벽이 낮아, 월 소비액이 적은 직장인이나 학생에게 추천됩니다.
6. 하나카드 JADE Classic – 프리미엄 다중 구독자용
하나카드 JADE Classic은 연회비 115,000원(국내전용) 또는 120,000원(해외겸용)의 프리미엄 카드입니다.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유튜브 프리미엄 등 다양한 콘텐츠 플랫폼에서 50% 하나머니 적립 혜택을 제공하며, 월 최대 10,000포인트까지 적립 가능합니다.
연회비가 높지만 해외여행 라운지 무료 이용, 호텔 할인 등 프리미엄 서비스를 함께 누릴 수 있어, 월 소비액이 100만 원 이상이고 OTT를 포함해 다양한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는 고소비층에게 적합합니다.
OTT 할인 카드 선택 시 주의사항
OTT 할인 카드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할인 방식입니다. 결제금액 기준의 100% 할인과 일정 비율의 할인으로 나뉘는데, 전자가 실질적인 절감 효과가 더 큽니다. 또한 할인 한도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월 구독료가 2만 원 이상이라면 한도가 충분한 카드를 선택해야 하며, 5천 원 이하라면 저연회비 카드로 충분합니다.
전월실적 조건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무실적 카드라면 부담이 없지만, 조건이 있다면 충분히 달성 가능한 수준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OTT 할인 외에 배달, 커피, 통신비 같은 다른 영역의 할인까지 함께 제공되는 카드를 선택하면, 추가 절약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2025년 넷플릭스 요금 인상으로 월 구독료가 최대 17,000원까지 올라갔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OTT 할인 카드는 단순한 선택지가 아닌 필수 도구입니다. 자신의 구독 패턴과 월 소비액에 맞는 카드를 선택해 현명하게 활용하면, 연간 10만 원 이상의 실질적인 절약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